Git의 기본

변경을 기록하는 커밋

파일 및 폴더의 추가/변경 사항을 저장소에 기록하려면 '커밋'이란 버튼을 눌러줘야 합니다.

커밋 버튼을 누르면 이전 커밋 상태부터 현재 상태까지의 변경 이력이 기록된 커밋(혹은 리비전)이 만들어집니다.

커밋은 아래 그림처럼 시간순으로 저장됩니다. 최근 커밋부터 거슬러 올라가면 과거 변경 이력과 내용을 알 수 있겠죠.

시간순으로 저장된다.

각 커밋에는 영문/숫자로 이루어진 40자리 고유 이름이 붙습니다. 저장소에선 이 40자리 이름을 보고 각 커밋을 구분하고 선택합니다.

Tips

버그 수정, 기능 추가 등 특별한 의미가 있는 업데이트를 작업 별로 구분해서 각각 커밋하면, 나중에 이력을 보고 특정 변경 내용을 찾기 쉽습니다.

커밋은 이렇게 이력을 남기는 중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커밋 버튼을 누를땐 커밋 메시지를 필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메시지가 없으면 커밋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Tips

메시지는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남겨야 본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커밋 이력을 확인하기 쉽습니다. Git 에서 권장하는 메시지 형식을 따르는 것도 좋습니다.

1번째 줄 : 커밋 내의 변경 내용을 요약
2번째 줄 : 빈 칸
3번째 줄 : 변경한 이유

주로 위 형식으로 메시지를 작성합니다.